저는 오늘 조선족소학교민족문화교육교재 5학년 상권 전통명절인 “정월대보름”에 대한 수업설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.
수업설명순서:
1) 교재분석 2) 학생분석 3) 활동목표,중점,난점
4) 교법 및 학법 5) 활동흐름 6) 판서 설계
등 여섯개 부분으로 하려고 합니다.
1. 【교재분석】
조선족소학교민족문화교육교재 - 조선족전명절 5학년 상권에서는 한해가운데 들어있는 이런 조선족전통명절들을 소개하였습니다 . 2과 정월대보름은 설 다음 쇠는 아주 중요한 명절입니다.
교재에서는 정월 대보름의 이름의 유래, 음식풍습과 민속놀이에 알아보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선조들의 지혜와슬기를 느끼게 하고 민족 자부심을 갖고 우리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면서 성장하도록 하였습니다.
2. 【학생분석 】
반급학생들을 대상하여 다음과 같은과 (그림) 같은 조사를 진행해보았는데 정월대보름의 이름의 유래를 알고있는 학생이 몇프로 입니다.
분석표만 보아도 학생들은 우리 전통명절인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풍속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습니다. 또한 새 시대 젊은 부모님들과 함께 있는 학생들은 한족들의 풍속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.
- 지방학과과정표준과 조선민족문화교재의 특점 및 우리 학생들 실제정황에 따라 아래와같이 활동목표를 정하였습니다.
3. 【활동목표 】
1 지식과 기능 : 조선민족의 전통명절인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여러가지 전통풍속들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
2 과정과 방법: 정월대보름의 여러가지 전통풍속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정보수집및 정리 ,교류합작,평가능력을 배양합니다.
3 정감,태도 및 가치 :체험과정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차란한 우리민족 문화를 이어받게 하며 후손으로서 우리민족전통에 자부심을 갖게 합니다.
[활동중점과 난점]
중점: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풍속놀이에 대해 알아본다
난점: 체험속에서 정월대보름의 풍속놀이를 익히기
4.【교법과학법】
교법:
교원은 활동중에서 조직자, 인도자, 참여자 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흥취격발법, 인도법으로 활동을 진행합니다
학법:
흥취를 갖고 과당에 적극 참여하면서 교류법 , 협동합작법, 체험법을 통해 정월대보름의 풍속에 대해 알아본다.
5.【활동흐름 】
-지방과정리념에 근거하여 전반 활동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.
활동준비물 - 정보수집및정리 , 바람개재료, 연
활동전개 - 활동1 “화면으로 알아보아요 “
활동2 “퀴즈놀이로 알아보아요”
활동3 “체험놀이로 익혀보아요
제3단계 활동총화
1) 활동준비물
정보수집및정리 , 바람개비 재료, 연
2) 활동전개
활동전개단계에서는 크게 3개 환절로 나누었습니다.
활동1 : “화면으로 알아보아요 "
ㅇ 영상감상
영상 - 흥취 격발
활동3 : “퀴즈놀이로 알아보아요”
- 활동순서: ㅇ 단계별 퀴즈 알아맞추기
ㅇ 활동소결
ㅇ 단계별 퀴즈 알아맞추기
평가표준제기 - 알아맞추기 - 평의 - 정보를 공유하고 우리
* 민족문화 알아보는가운데서 슬기와 지혜- 민족사랑
ㅇ 활동소결
교원 - 단계성 평가진행하면서 고무격려
◎ 활동3 “즐거운 놀이마당”
활동순서 : ㅇ 바람개비 만들기 , 분공 – 협동합작 ,
ㅇ 놀이시작 – 바람개비팀, 연날리기팀
ㅇ 호상평가
3) 활동총화
6.【판서설계 】
판서는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습니다.
评论
还能输入140字
用户评论